스프링 2일차
어제는 XML 방식의 IOC와 DI를 했고 오늘은 어노테이션(3.0 이후로 지원하는)을 이용한 스프링 구조
Spring 애플리케이션 작성 절차
1. POJO 클래스 작성
applicationContent에서 스코프를 지정할 수 있는대 prototype은 getbean 할때마다 생성하고 싱글톤은 하나의 객체를 생성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session과 request가 있는대 이것은 webApplication에서 구현시 필요하다
어노테이션 방식
@Component - XML 설정시 <bean>태그와 같다, 클래스를 가리킨다
@Resource - XML 설정시 <property> 태그와 같다. 해당 값의 의존성을 주입한다.
@Value - 객체 생성시 초기화
@Autowired - 알아서 이름을 찾아서 할당해준다.
도메인 클래스와 DTO의 차이
도메인 - 약간의 비즈니스 로직을 가지고있는 데이터 객체
DTO - 순수한 데이터만을 가지고있는 객체
Spring JDBC개요
스프링에서 JDBC를 쉽게 활용할수 있게 해주는 모듈
- jdbc Template
메소드를 활용하여 직접 이용할수 있는 형태이다. (1.0)
- NameParameterjdbcTemplate
sql에 파라미터를붙여 sql을 만들수 잇다(2.0)
mybatis 적용한 예제 실습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 1주차 4일차(18주차) (0) | 2015.11.04 |
---|---|
11월 1주차 3일차(18주차) (0) | 2015.11.03 |
11월 1주차 1일차(18주차) (0) | 2015.11.02 |
10월 5주차 6일차(17주차) (0) | 2015.10.31 |
10월 5주차 5일차(17주차) (0) | 2015.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