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계열/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에 해당되는 글 83건

  1. 2015.09.11 9월 2주차 5일(10주)
  2. 2015.09.10 9월 2주차 4일(10주)
  3. 2015.09.09 9월 2주차 3일(10주)
  4. 2015.09.08 9월 2주차 2일(10주)
  5. 2015.09.07 9월 2주차 1일(10주)
  6. 2015.09.04 9월 2주차 5일 (9주)
  7. 2015.09.03 9월 2주차 4일 (9주)
  8. 2015.09.02 9월 1주차 3일 (9주)
  9. 2015.09.02 9월 1주차 2일 (9주)
  10. 2015.08.31 9월 1주차 1일 (9주)

오전 방명록 or 놀기


CSS 적용한 홈페이지 만들기


오후엔 책가지고 자바스크립트!!


이후 교육 방향


자바스크립트 -> Server -> servlet -> jsp -> jQuery -> ajax -> spring


개인 포트폴리오 목표로 만들기

쇼핑몰 + 개인홈페이지 + 개발자 홈페이지 느낌을 컨셉으로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3주차 2일 (11주)  (0) 2015.09.15
9월 3주차 1일 (11주)  (0) 2015.09.14
9월 2주차 4일(10주)  (0) 2015.09.10
9월 2주차 3일(10주)  (0) 2015.09.09
9월 2주차 2일(10주)  (0) 2015.09.08
Posted by moyaiori
,

CSS3 수업 이후 홈페이지 구조 만들기


차후 수료 프로젝트 및 jsp 과제를 위한 사전작업


무료 CSS 적용해보기


나를 소개하는 하나의 사이트를 만들기


http://edu.kosta.or.kr/html/introduce를 기준으로


개인소개 방명록 게시판 자료실 (상단메뉴)


사이드메뉴로 사용해도된다.


우측상단 - 로그인, 회원가입


회원가입 - from을 활용한 기본 회원가입폼, 주민번호 X(생년월일만)


이름, 아이디, 비밀번호, 비밀번호확인, 이메일, 휴대폰 번호, 개인소개



오늘만드는것은 메인 첫페이지, 회원가입페이지, 로그인(첫화면에 로그인박스 넣기 or 다른페이지에서 하기)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3주차 1일 (11주)  (0) 2015.09.14
9월 2주차 5일(10주)  (0) 2015.09.11
9월 2주차 3일(10주)  (0) 2015.09.09
9월 2주차 2일(10주)  (0) 2015.09.08
9월 2주차 1일(10주)  (0) 2015.09.07
Posted by moyaiori
,

<Form> 태그

어제는 잠깐 맛만봣고 오늘 제대로 마무리


다양한 html5 에서 추가됨 form type 옵션에 대해서까지 알아보앗다.


http://www.w3schools.com/html/html_form_input_types.asp


-----------


css3 시작!!


CSS를 적용하는 3가지 방법


1. 인라인 : 직접 태그안에 써넣기

2. 인터널 : 선택자를 활용하여 문서안에 작성

3. 익스터널 : 문서화시켜 외부에 링크시켜 사용

4. 임포트 : 문서내의 스타일 태그안에 다른 CSS 파일을 연결


스타일시트 스타일 우선순위

1. 직접작성

2. 문서에 내포된 스타일

3. 링크된 외부스타일

4. 임포트된 외부 스타일


선택자 우선순위

1. * : 공용선택자

2. A : 타입 선택자

3. .A : 클래스 선택자

4. #A : ID 선택자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주차 5일(10주)  (0) 2015.09.11
9월 2주차 4일(10주)  (0) 2015.09.10
9월 2주차 2일(10주)  (0) 2015.09.08
9월 2주차 1일(10주)  (0) 2015.09.07
9월 2주차 5일 (9주)  (0) 2015.09.04
Posted by moyaiori
,

HTML5 & CSS3 실습


하나의 웹서버에는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할 수 있다.


DTD(Document Type Definition)

브라우저는 어떤 종류의 문서 타입이 사용되었는지, 그리고 어떤버전의 HTML이 사용되 었는지를 구분해주는 정보는 제공


1. Strict DOCTYPE(엄격한 규격)

2. Transitional DOCTYPE(느슨한 과도기 규격)

3. Frameset DOCTYPE(프레임 적용 규격)

위는 4.01버전에서의 DTD 타입별


html5에서는 1가지로 되어있다.


컨트롤 + F5 눌러야 서버에 다시 요청한다.


body에는 두가지 엘리먼트가 있다.

1. 블럭레벨 - 한 행이 꽉차는 엘리먼트 ex) <p>

2. 인라인 - 한행에 여러개 들어가는 엘리먼트 ex) 


대부분 블럭레벨이다.


각종 html 태그 실습


<form> 태그 get, post 방식에 다른점 및 간단한 구현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주차 4일(10주)  (0) 2015.09.10
9월 2주차 3일(10주)  (0) 2015.09.09
9월 2주차 1일(10주)  (0) 2015.09.07
9월 2주차 5일 (9주)  (0) 2015.09.04
9월 2주차 4일 (9주)  (0) 2015.09.03
Posted by moyaiori
,

저번주 JDBC 파일로 DB및 서버 데이터 관리하기


스테틱 초기화 블록, 프로퍼티 설명


- 스태틱 초기화 블록

Static {

}

위와같은 형태이다.

스태틱 초기화 블록이 생성자보다 먼저 호출된다.

클래스가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있는대 클래스로더에서 초기화 해주는대 이때 실행되는 블록이다. 바이트 코드에 있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로드된다. OS를 하나의 객체(클래스) 라고볼때 하드웨어가 제대로 연결되있나 확인하는 그런 작업의 일종이다. 애플리케이션이 복잡한 경우 미리 클래스를 로드하는경우에 사용하거나 미리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할때, 주로 하드웨어 체크를 많이한다. (특별한 작업을 미리 해줘야할때) 그래서 우리가 네트워크로 DB연결 상태를 미리 확인할때(초기화), 공유되는 변수들을 미리 확인한다. 


- 프로퍼티스(properties)

 HashTable에 파일처리가 추가된 콜렉션 객체

메모리에서 읽어서 맵형태로 초기화 시켜준다. 키, 벨류 쌍으로 저장해준다.

파일의 형태는 TEXT이다. ㅁ:ㅁ 형태로 구분된 파일만 읽는것이 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파일로 사용하는경우가 많다.


Factory -> 확장(관리) -> 컨테이너

컨테이너는 팩토리인대 제고관리까지해준다.


웹 시작!!

웹브라우저가 html을 랜더링 해줘서 우리가 볼수있는 화면이된다.

웹서버에 이 데이터가 저장되있고 이것을 클라이언트가 다운받아서 위와같은 행위를 해준다.


웹서버안에서 동적으로 돌아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컨테이너 컨텍스트이다. 웹컨테이터가 필요한대 이것에 대한 규격이 CGI이다.


웹 플랫봄이란? : 플랫폼은 이기종간의 통합을 말한다. 이기종성을 극복하기 위해 웹표준을 따른다.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주차 3일(10주)  (0) 2015.09.09
9월 2주차 2일(10주)  (0) 2015.09.08
9월 2주차 5일 (9주)  (0) 2015.09.04
9월 2주차 4일 (9주)  (0) 2015.09.03
9월 1주차 3일 (9주)  (0) 2015.09.02
Posted by moyaiori
,

DAO 2단계

문제점 - UserDao의 소스 코드 변경없이 DB 종류가 변경될 수 있고, Connection 생성 방법을 Connection Pool 또는 JNDI로 변경해야 한다면?

형기군 발표


템플릿 메소드의 가장큰 특징은 추상클래스로 생성된다.

즉 상속받아서 사용해야된다.


추상클래스 상속

1. 오버라이딩 할수도있고, 안할수도있고 -> 선택적 으로 원래 메서드를 변경할수있다. hookMethod

2. 오버라이딩 필수 (Abstract) -> 반드시 오버라이딩 해야되는것. 추상메소드(abstractMethod)

3. 오버라이딩 불가 (final) -> 템플릿 메소드(templateMethod)


Connection은 항상 되어야하기때문에 final로 지정하여 변경불가능하게 한다.


DAO 3단계

문제점 - 상속을 통해 관심이 다른기능(Connection 생성)을 분리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신이 가능하도록 확장성도 부여했지만, 상속관계는 서로 다른 관심사에 대해 긴밀한 결합 관계를 가지고있다. 슈퍼클래스의 변경이 있을경우 몯느 서브클래스를 수정해야하며, UserDao외에 다른 DAO를 게속 작성해야될 경우 getConnection()메서드를 재정의한 새로운 서브클래스를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개선사항 - 상속관계가 아닌 완전히 독립적인 클래스로 분리하여 작성한다.


DAO 4단계

소스코드 수정 없이 DB Connection 생성 기능을 변경할 방법이 없다. DB 커넥션을 제공하는클래스의 이름이나 메소드 이름이 변경될 경우 UserDao의 코드를 수정해야한다. 


개선사항 - 2개의 클래스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지 않도록 중간에 추상적인 느슨한 연결고리(인터페이스)를 만든다.


객체지향 기본 설계 원칙 정리

- 개방 폐쇄 원칙(OCP : Open - Closed - Principle)

클래스나 모듈은 확장에는 열려 있어야 하고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확장 기능을 정의한 대부분의 API는 이 개방 폐쇄 원칙을 따른다.


-높은 응집도와 낮은 결합도

높은 응집도란? : 클래스나 모듈이 하나의 책임 또는 관심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뜻으로 불필요하거나 직접 관련이 없는 외부의 고나심과 책임이 얽혀 있지 않으며, 하나의 공통 관심사는 한클래스에 모여 있다

낮은 결합도란? : '하나의 오브젝트가 변경이 일어날 때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오브젝트에 변화를 요구하는 정보'를 말한다.


- 전략 패턴(Stategy Pattern)

자신의 핵심 기능 맥락(Context)에서 필요에 따라 변경이 필요한 알고리즘(독립적인 책임으로 분리 가능한 기능)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분리시키고, 이를 구현한 구현한 구체적 알고리즘 클래스를 전략적으로 바꿔 사용할 수 있는 패턴이다.


DAO 5단계

UserDao의 소스코드 변경없이 DB 커넥션 기능의 확장이 자유롭지 못하다.


개선사항 - 제3의 오브젝트를 만들어서 관리한다.


DAO 6단계

개선 - javaSE 표준 API에는 DB커넥션 생성기능을 추상화(규약)해서 일관되게 Connection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javax.sql.DataSource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DAO 7단계

문제점 - 인터페이스와 구현클래스로 분리하지 않아 다양한 데이터 엑세스 기술(JDBC, ibatis등)을 사용해 만든 DAO 사용시 일관된 메소드 호출이 불가능하며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일관된 메소드 호출이 불가능하다.


개선 - DAO를 인터페이스화하여 일관된 형태로 규격을 만든다.



DAO 8단계


DAO를 동적으로 할당해주기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주차 2일(10주)  (0) 2015.09.08
9월 2주차 1일(10주)  (0) 2015.09.07
9월 2주차 4일 (9주)  (0) 2015.09.03
9월 1주차 3일 (9주)  (0) 2015.09.02
9월 1주차 2일 (9주)  (0) 2015.09.02
Posted by moyaiori
,

JDBC를 이용하여 DAO클래스로 분리하여 MVC모델로 구현하기 진행중


현재는 클라이언트에서 바로 DB서버쪽으로 접속하지만

실제 개발시에는 그런 경우는 거의없고 중간에 서버가 중계해주는 3티어 구조로 되어있다.

클라이언트 < - > 서버 < - > DB서버  (3티어)



DAO를 통해서 다양한 검색 메서드를 구현

--------------- 오전끝


커넥션 풀(Connection Pool)사용하기

티어3 구조

클라이언트 < - 클라이언트 요청 - > 서버 < - Connection 요청 -> DB서버


Connection Pool 이란 요청 시점에 Connection을 연결하는것이 아니라 미리 일정수의 Connection을 만들어놓고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이용하도록 하는 풀링방법이다.


Connection pool 에는 기본수, 최대후, 필요시 자동으로 증가하는수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디자인 패턴 - https://ko.wikipedia.org/wiki/%EB%94%94%EC%9E%90%EC%9D%B8_%ED%8C%A8%ED%84%B4


싱글톤 패턴 - 하나의 객체만 생성한후에 모든 클라이언트가 공유하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

 - 싱글턴 패턴은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하나만 만들어진다.

 - 어디서든지 그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클래스에서 자신의 단 하나 뿐인 인스턴스를 관리하도록 만들면 된다.


생성자의 접근제한자가 private이다 -> NEW를 못하게해준다.

그래서 클래스를 생성해주는 팩토리 메서드를 만든다.


ApacheDataSource를 사용시엔 미리 구현해놓은


BasicDataSource를 통해서 구현한다.


- DataBase 연동 애플리케이션 개발

DAO란? - 애플리케이션을 다루는 영속성 데이터(DB, FIle...)들을 저장하거나 조회, 조작 하는 기능을 전담하도록 만드는 객체를 말한다. 엔터프라이즈(서버)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어떤 방법으로든 DBMS와 연결되서 동작한다. 애플리케이션에서 DB 연동 시 DAO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여 영속성 데이터 엑세스 로직을 담은 클래스를 캡슐화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DAO 디자인 패턴 - 영속성 처리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 엑세스 기술(JDBC, JDO, JPA IBatis....)들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디자인 패턴

영속성 데이터 엑세스 코드를 변경하더라도 DOA를 사용하는 객체 코드에 전혀 영향을 주지않으며, 일관됨 메소드 호출이 가능해야한다.


1단계 가장 간단한 DAO 클래스 구성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주차 1일(10주)  (0) 2015.09.07
9월 2주차 5일 (9주)  (0) 2015.09.04
9월 1주차 3일 (9주)  (0) 2015.09.02
9월 1주차 2일 (9주)  (0) 2015.09.02
9월 1주차 1일 (9주)  (0) 2015.08.31
Posted by moyaiori
,

JDBC 활용


자바 APP에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RDBMS)에 연결하여 SQL문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받아 쉽고,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표준 API이다.

= > DB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들과 클래스들의 집합(클래스 라이브러리)


JDBC가 있기전까지는 직접 연결하여 프로토콜이 약 4천개를 구성해야했는대 이것이 편리해졋다.


JDBC Driver 다운로드를 굳이 하지않아도 설치시 생긴다.


이클립스 내부적으로 오라클 JAVA를 사용할수있도록 추가한다.


ResultSet의 구조는

BOF(Before Of File) -> 결과값 -> EOF(End of File) 순서이다.


커서가 BOF부터 시작된다. 

NEXT 할때마다 다음값으로 넘어간다

NEXT는 Bool값이다.

값이없을경우 false를 반환


오라클 드라이버는 오토커밋이 기본설정이다.


그래서 따로 트랜잭션 메서드가 따로 있다.



PreparedStatement 활용

기존의 쿼리문을 동적으로 보낼시 효율이 떨어진다 (쿼리문전체를 보낼때마다 컴파일 해주기떄문에)


서버쪽 부하를 줄이기위해 클라이언트에서 미리 선처리를 해주고 데이터를 보낸다.

칼럼명 = ?

?는 밑에서 set 메서드를 활용하여 값을 넣어준다.

?(바인딩 변수) 라고 부른다.


굳이 변수가 없더라고 PreparedStatement를 쓰는걸 권장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주차 5일 (9주)  (0) 2015.09.04
9월 2주차 4일 (9주)  (0) 2015.09.03
9월 1주차 2일 (9주)  (0) 2015.09.02
9월 1주차 1일 (9주)  (0) 2015.08.31
8월 4주차 5일 (8주)  (0) 2015.08.28
Posted by moyaiori
,

데이터 베이스 설계


논리적, 물리적 설계 실습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주차 4일 (9주)  (0) 2015.09.03
9월 1주차 3일 (9주)  (0) 2015.09.02
9월 1주차 1일 (9주)  (0) 2015.08.31
8월 4주차 5일 (8주)  (0) 2015.08.28
8월 4주차 4일 (8주)  (0) 2015.08.27
Posted by moyaiori
,

8월 31일부터 시작!!


데이터 베이스 객체


뷰 하다말았음(저번주 내용)


뷰 - 가상의 테이블, 동적테이블

보안상의 이유 - 사용자 권한에 따라 미리 생성된 뷰만 보여준다.

복잡한 질의를 간편하게 - 미리 복잡한 질의에 대한 검색결과를 뷰로 만들어서 관리할 수 있다.

뷰는 수정기능이 없다.

뷰는 물리적인 테이블이 사라지면 같이 삭제된다.

update와 delete는 제약사항이 있다.


WITH CHECK OPTION - 옵션에 대해서만 insert, update만 가능하다. VIEW 의 조건식(WHERE)을 만족하는 데이터만 INSERT 또는 UPDATE가 가능하도록 하는 옵션


WITH READ ONLY - SELECT만 가능한 VIEW를 생성합니다.


인덱스(INDEX) - 테이블내의 원하는 행을 빠르게 찾아갈 수 있도록(빨리 검색할 수 있도록), 테이블에서 쓰여지는 선택적 객체이다.


select rowid 칼럼명

from 테이블명;

-> 결과값이 실제 데이터의 주소값이 출력된다.


자동인덱스 : PK, UK 제한 규칙에 의해 자동적으로 생성 (중복값이 없는 UK INDEX 생성)


수동 인덱스 : CREATE INDEX명령을 실행해서 생성(중복된 값을 허용하는 Non UK INDEX 생성)

테이블 크기가 최소 수십만 ~ 수천만 건 이상(그 이하에서는 인덱스 데이터가 더 크다)

10만건중에서도 조건과 JOIN 조건에 자주 사용하는 컬럼

FK 칼럼에는 반드시 인덱스를 생성한다.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INDEX 생성이 불필요

테이블이 작을 때(수천건 이내)

테이블이 자주 갱신(DML)될 때


면접 질문중에 중요한것들 - 뷰가 무엇인냐, 시퀀스가 무엇이냐, 수동인덱스를 언제걸어주냐


INDEX에서 검색할때는 이진트리를 활용

이진트리검색을 활용하여 5번안에 검색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A7%84_%ED%8A%B8%EB%A6%AC (이진트리 위키)

실제론 데이터베이스에 따라서 다르다.


rownum(가상컬럼)

물리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컬럼이 아닌 모든 SQL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칼럼

(엑셀에서 왼쪽에 행번호가 맥여져있는것과 비슷하다)

동적으로 생성되며 가상의 칼럼이다.



SYNONYM(동의어)

시노님은 오라클 객체(테이블, 뷰, 시퀸스 등)에 대체이름(Alias)를 말한다.

시노님은 실직적으로 그 자체가 Object가 아니라 Object에 대한 직접적인 참조이다.

사용하는 이유 - 데이터베이스의 투영성을 제공, 객체이름을 짧게만들어서 간단하게 검색을 가능케 한다.

오브젝트의 실제 이름과 소유자 그리고 위치를 감춤으로써 database 보안을 개선하는데 사용

Object에의 Public Access를 제공

◈ Remote DatabaseTable, View 등에 투명성을 제공

◈ Database 사용자를 위해 SQL 문을 단순화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private, public


private - 특정사용자에게만 사용하도록 만드는경우


public - 모든사용자에게 오픈할경우


-------------


데이터 베이스 설계(데이터 모델링, Data Modeling)

데이터 모댈링 절차

개념적(ConCeptual) -> 논리적(Logical) -> 물리적(Physical)


모델링의 정의

현실세계의 데이터들을 도형이나 기호를 이용하여 단순하고, 이해하기 쉽게 표현(모형화) 하는것

엔티티(Entity)와 엔티티간의 관계(Relation), 엔티티가 가지고 속성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는 것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은 E - R 모델(엔티티-관계 모델) 이다.


표기법위주로 수업할 예정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기업의 전사 정보체계를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상위수준의 모델링

엔티티와 엔티티간의 관계 파악하여 주요 업무 규칙 정의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의 기초로 사용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개념적 데이터 모델로부터 개발 업무 영역의 업무 데이터와 규칙을 상세히 표현

정규화

모든 업무 규칙을 완전하고 정확하게 표현

DBMS종류, 성능, 물리적인 세부사항은 고려하지않음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설계와 성능을 고려한 조정

특정 DBMS에 적합한 성능 고려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의 핵심은 어떤 엔티티가 있는지 추출하는것이다.

개체 - 관계 모델(E-RModel : Entity - Relationship Model) 모델 소개

E-R 모델 구성요소

Entity(개체) - 영속적으로 정보화해야 할 대상

Attribute(속성) - 엔티티 내에서 관리해야 할 정보들의 항목

Relation(관계) - 엔티티 사이의 연관성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의 핵심은 개발업무 분석 및 고객 요구사항 분석이다.

설계 대상이 되는 업무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된다.

엔티티 - 기업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영속적으로 정보화 해야 할 대상, 여러개의 속성으로 구성된 명사


엔티티 관계에는 관계명, 선택사항(Optionality), 관계형태(Degree) -  다중성을 표시한다.

다 - 다 를 1 - 다 로 바꾼다 (다 : 다중, 여럿)


엔티티에 일반 속성의 정의

의미가 명확하고 내용을 함축성 있게

너무 길지 않게

필요 시 표준 약어를 제정

가능한 복합명사(일자->판매일자)

단 하나의(특정) 엔티티에만 속하도록


속성을 크게 3가지로 나눈다

1. 일반 : 보통의 속성

2. 설계 : 설계상에 필요한 속성

3. 유도 : 위의 속성에서 유도되는 속성


유도속성은 설계단계에서 엔티티에서 빼야한다.

논리적 모델링 단계에서는 빼는대 물리적 모델링에서는 속성을 부여할 수 도있다.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의 가장큰 목적은 엔티티와 엔티티사이의 관계제약사항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엔티티를 식별해내야하는대 이러한 엔티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을 정규화(Normalization)이라 한다.


정규화 정의 : 기업의 정보화 요구에 대하여 적절한 속성을 갖는 엔티티를 생성(식별)하는 기법으로 속성들간의 관계를 통해 속성의 중복성을 최소화하고 정보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개념으로 모든 정규화 과정은 기본키와 일반속성 사이의 의존성을 기반으로 엔티티를 식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정규화는 검증으로서의 의미가 크다.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1주차 3일 (9주)  (0) 2015.09.02
9월 1주차 2일 (9주)  (0) 2015.09.02
8월 4주차 5일 (8주)  (0) 2015.08.28
8월 4주차 4일 (8주)  (0) 2015.08.27
8월 4주차 3일 (8주)  (0) 2015.08.26
Posted by moyaior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