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시작!!
- TCP/IP 표준 모델
Application Layer(클라이언트) - 응용프로그램, HTTP, FTP, SMTP, POP3등이 해당된다.
Transfer Layer(운영체제) - 데이터를 패킷화시킨다.(잘개쪼갠다), 패킷에 해더를 추가한다. 해더에는 인덱스와 포트를 기록된다. 패킷화 시키는 소프트웨어이다.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TCP, UDP가 있다.
Network Layer(운영체제) - 어디로 가야할지(IP)정보를 기록한 해더를 추가한다.
DataLine Layer(랜카드) - 비트열처리
Physical Layer(랜카드) - 비트를 전기신호로 변환해준다.
전송계층에 연결하기위한 객체 "socket"이 필요하다
응용계층에서 사용하는 응용 프로토콜(http, ftp, smtp, pop3등)이라고 부른다.
- TCP/UDP 프로토콜 특징
TCP - 신뢰할수 있는 연결 지향 스트림 통신 프로토콜, 수신자에게 바이트가 도착하는것을 책임진다. 전화와 비슷하다.
UDP - 신뢰할수없는 비 연결지향 데이터그램 통신 프로토콜, 수신자에게 바이트를 보내고 연결은 마친다. 우편물과 비슷하다. 장점은 속도가 빠르다. 동영상 스트리밍을 udp로 만들어진다.
- TCP/IP 기반 자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절차
1. IP주소지정(InetAddress클래스)
2. TCP로 연결(Socket클래스)
3. 소켓을 하용하여 스트림 생성
4. 스트림을 통한 데이터의 교환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al) 소개
TCP/IP 기반 대표적인 응용 프로토콜의 하나로 웹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상호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html 텍스트) 전송규약이다.
구조화된 텍스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간에 연결상태를 유지하지않는 특징을 가진다.
웹(World Wide Web) - 인터넷 상에서 TCP/IP 기반 HTTP 응용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
'JAVA 계열 > 자바 & 안드로이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3주차 2일 (7주) (0) | 2015.08.18 |
---|---|
8월 2주차 4일 (6주) (0) | 2015.08.13 |
8월 2주차 2일 (6주) (0) | 2015.08.11 |
8월 2주차 1일 (6주) (0) | 2015.08.10 |
8월 1주차 5일 (5주) (0) | 2015.08.07 |